Skip to main content

대한민국 외교부, REACH 프로젝트를 통해 WFP 수단 긴급구호에 생명을 구하는 식량 지원

2025년 4월, 수단 하르툼 주 옴두르만 지역에서 배급 중인 WFP 구호 식량
포트수단/나이로비 - 유엔세계식량계획(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WFP)은 5일 대한민국 외교부가 WFP 수단 긴급 식량 지원에 700만 달러(한화 약 97억 원)를 공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여는 기근(famine)이 확인된 일부 지역과 재앙적인 수준의 식량 위기에 직면한 취약 계층에 긴급한 식량 및 영양 지원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공여는 대한민국과 WFP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분쟁 피해 가구를 위한 긴급구호(Responding with Emergency Assistance for Conflict-affected Households, REACH)'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REACH 프로젝트는 다르푸르, 코르도판, 하르툼 주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가정을 위한 WFP의 식량 및 영양 지원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로랑 부케라 WFP 수단 사무소장은 "수단의 상황은 매우 절박하며, 인구의 절반 이상이 심각한 식량 불안정에 직면해 있다"며, "대한민국의 시의적절한 지원은 수단 내 가장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생명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수단 국민을 지원해 주신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에게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남궁환 주수단 대한민국 대사는 "대한민국은 책임 있는 공여국으로서 전 세계 인도주의적 위기를 위해 헌신하고 있다. 올해 대한민국은 긴급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지역에서 주요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식량 지원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가진 WFP와 계속해서 협력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이번 700만 달러의 신규 지원이 지속되는 분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수단 국민의 고통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번 지원은 최근 수년간 대한민국이 WFP의 수단 구호 활동에 제공한 가장 큰 규모의 공여로, 이를 통해 기존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22년 이후, WFP 수단은 긴급 식량 지원과 유엔 인도주의 항공 서비스(UN Humanitarian Air Service, UNHAS) 지원을 위해 대한민국으로부터 총 1,000만 달러를 지원받았다.

대한민국은 WFP의 주요 파트너 중 하나로, 2024년에는 WFP의 5대 정부 공여국을 기록했으며, WFP가 지원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수단은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기아 위기를 겪고 있다. 약 2,500만 명이 심각한 배고픔에 직면하고 있고, 그중 63만 8천 명은 재앙적인 상황에 놓여있다. 1년 전, 다르푸르 북부 지역의 잠잠(Zamzam) 실향민 캠프에서 기근이 처음 확인되었으며, 이는 다르푸르와 코르도판 지역의 분쟁이 격화되면서 심화하고 있다.

WFP는 향후 6개월간 생명을 구하는 지원을 지속하기 위해 약 6억 5,800만 달러가 긴급히 필요하며, 자금 부족의 영향은 이미 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WFP는 현재 가장 극심한 배고픔에 처한 사람들만을 지원할 수 있는 상황이다.

#          #          #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은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인도적 지원 기관으로, 긴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고, 식량 지원을 통해 분쟁, 재난, 기후 위기로 인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평화와 안정, 번영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WFP 소셜미디어: @wfp_media, @wfp_sudan (X), @worldfoodprogramme, @wfpkorea (Instagram)

항목

수단 Republic of Korea 분쟁 자금

연락처

For more information please contact (email address: firstname.lastname@wfp.org):

Leni Kinzli, WFP/ Nairobi, Mob. +254 769 602340 
Mohamed Elamin, WFP/ Port Sudan, Mob. +249 91 212 8974